왜 서울 아파트는 계속 오를 것인가? 아파트 투자에 대해 알아보자
뉴스에서 연일 집값이 오른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워낙 아파트값이 오르다보니 이제는 빌라나 오피스텔도 덩달아 오른다고 하는데요, 저도 그러다보니 조급해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 명의의 부동산이 있어야 이 급격한 자산가치 상승에 따른 현금가치 하락을 방어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가 문제일텐데요, 이미 많이 오른 가격이 계속해서 올라갈까요? 전문가들도 의견이 많이 갈리는 부분이기는 한데, 왜 그래도 서울아파트에 투자해야 하는지 몇 가지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인구와 아파트 가격
사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는 하루이틀 언급된 것이 아닙니다. 많은 부동산 폭락론자들은 인구가 감소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아파트 가격은 붕괴할 것이며 지금 과도한 빚을 내서 아파트를 비롯한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은 큰 재앙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방의 아파트의 가격은 하락할지언정 서울의 집값은 큰폭으로 내리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인구가 줄어들수록 핵심 인구는 서울로 몰려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방에 인구가 줄기 시작하면 그만큼 인프라도 축소되기 때문에, 오히려 지방의 인구가 서울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사례는 일본의 사례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미래라고 흔히 이야기 하는데요, 일본도 인구 감소 문제로 현재 지방의 인구는 현저히 감소했습니다. 그래서 지방의 부동산 가격은 내려가는 반면 도쿄 등 핵심지역은 여전히 집값이 비쌉니다.
2. 여전히 저평가인 곳이 있다?
현재 풀린 유동성과 저금리 추세에 비하면 현재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저렴한 편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인구감소 문제건 뭐건 지방의 아파트가 신축이라는 이유로 10억을 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는데, 그에 비하면 서울 집값은 아직 더 상승할 여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현 정부는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해 대출규제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고가 아파트일수록 통화량에 의한 거품이 낄 수 없는 구조입니다.
3. 과도한 양도세 부과
대출규제에 이어 부동산 가격을 잡기위해 나온 대책이 양도세입니다. 양도세율을 높일 뿐 아니라 2년 미만 보유시 양도세를 중과하는 제도도 사실 아파트 가격이 내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려주는 대목입니다.
최근 전세가 사라지는 반면 팔고자 하는 매물이 줄어들면서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오히려 아파트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렇게 서울 아파트 가격이 내리는 것보다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그렇다면 서울 아파트를 매매하려는 사람의 고민은 무엇인지 한 사례를 소개해 드릴까 해요.
Q. 제가 아파트 한 채를 12년간 보유하고 있는데, 아파트 소재지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서울은 아니고 수도권인데, 이 아파트를 팔고 서울 쪽의 아파트를 매수하려고 합니다. 전세를 주고 매입할려고 하는데, 취득세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매도, 매수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2주택자가 될까 염려가 됩니다.
A. 1년 이내에 새로 구입한 아파트에 전입신고를 하시면 일시적 1가구 2주택 혜택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또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경우에도 반드시 6개월 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하는데요, 만약 이행하지 않으면 주담대는 강제적으로 회수가 이루어지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부동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30억원에 나온 토지(산) 물건 (0) | 2021.06.20 |
---|---|
땅을 샀는데 생각지도 못한 묘가 있는 경우 (0) | 2021.06.16 |
등기부등본 보는 법 (0) | 2021.06.15 |
관심있게 보았던 근린 상가 경매 물건 해설 (0) | 2021.06.15 |
부동산 시세 알아볼때 반드시 확인해봐야 할 사이트 3가지 (0) | 2021.06.14 |
댓글